본문 바로가기
독서지도사

독서 감상문 지도 2

by 행복한 사람 2021. 6. 19.

 

1. 독서 감상문 지도 방식의 변화

1) 제목 하나를 던져 주고 쓰라고 하는 전체적인 접근방식, 결과물을 중요시 하는 결과 중심의 글쓰기에서 교사가 적극적으로 글쓰기 과정에 개입하는 과정중심 접근방식을 적용하여 독서 감상문 쓰기를 즐겁게 이끌 수 있다.

 

2) 하나의 작은 주제로 글을 써보는 부분적 접근 방식을 적용. 짧게 간단하게 부분 글을 쓰다보면 긴 글도 쓸 수 있다는 이론으로 접근하여 즐겁게 감상문을 쓰게 한다.

 

 

2. 독서 감상문 쓰기의 다양한 방법

1) 시로 쓰기

① 강하게 떠오르는 장면, 인상적인 인물,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시로 표현

② 시를 많이 읽어보고, 시 쓰기 수업이 선행되어야 할 수 있음.

 

2) 편지로 쓰기

독자의 입장에서 책의 주인공이나 작가에게 이야기하듯 쓴다. 친구에게 책을 소개하는 형식, 책 속의 등장인물 중 한 사람이 되어 다른 등장인물에게 쓰는 편지 형식.

 

3) 일기로 쓰기

책을 읽은 소감을 그 날의 일기로 쓰면서 경험을 살릴 수 있다.

 

4) 기행문 형태로 쓰기

① 작가의 생가나 작품의 배경이 된 곳을 방문하여 기행문을 쓰는 방식의 독서 감상문.

② 자료 조사를 한 후 자료를 바탕으로 책의 내용과 어울리게 기행문을 쓴다.

 

5) 기타 형식

뒷이야기 쓰기, 결말 바꾸기, 기사문 쓰기, 인터뷰 쓰기, 연극 대본 만들기, 독서 엽서 만들기 등 다양한 형식으로 즐겁게 감상문을 쓴다.

 

 

3. 종류별 감상문 쓰기

1) 동화 또는 소설

① 인물, 사건, 배경을 중심으로 쓸 수 있다.

② 시간. 공간적 배경을 분석한다.

③ 인물들의 말, 생각, 행동, 사건의 흐름, 인상 깊은 장면 등을 소개한다.

④ 선택한 장면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 궁금한 점, 상상, 경험을 쓴다.

 

2) 위인전, 역사도서

① 내용을 전체적으로 소개, 인상적인 사건이나 인물

② 사건이나 인물이 역사에 미친 영향 정리, 배울 점 정리

③ 과거의 사건과 비슷한 현대의 사건에 대한 나의 생각

④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소개

⑤ 진정한 위인은 어떤 사람일까에 대해 생각하기

⑥ 위인의 일생, 성격의 장단점, 업적이 끼친 영향

⑦ 인물이 살던 시대적 배경

⑧ 인물의 뛰어난 점, 본받을 점

⑨ 나의 꿈과 관련시켜 생각한다.

⑩ 꿈을 이루기 위해 내가 가져야 할 습관

 

3) 시

① 시를 묶어 소개하거나 주제별로 분류하여 소개

② 인상적인 시, 좋은 구절 소개 후 자기 감상

③ 주제와 글감에 대한 나의 감상과 시인의 생각 비교 또는 대조

④ 새로운 표현으로 바꿔 보기

⑤ 시의 내용과 관련된 나의 경험

⑥ 글감에 대한 조사 및 탐구

 

4) 과학도서

① 책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

② 책을 선택하게 된 동기 (과학적 관심분야)

③ 새로 알게 된 사실

④ 책을 읽은 후 나의 생각과 행동의 변화

⑤ 과학 정신, 과학적 인식, 과학자의 태도

⑥ 실험 관찰, 과학 경진 대회 참가 등 책과 관련한 나의 경험, 생활 속 이야기

⑦ 앞으로 과학의 발전 방향

⑧ 과학자의 윤리 의식

⑨ 장래 희망. 미래 사회의 모습 등

⑩ 책과 관련하여 해 보고 싶은 일

⑪ 현대 사회의 문제

⑫ 과학 동화의 경우 동화적인 측면보다 과학적 내용에 중점을 둘 것

 

 

4. 감상문 쓸 때 주의할 점

1) 상투적인 마무리를 피한다.

‘참 재미있었다.’,‘감동적이었다.’는 표현 대신 어떤 점이 어떻게 재미있었는지 써본다. ‘감동’이라는 것은 슬픔, 기쁨, 깨달음, 즐거움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자신의 느낌을 책 속의 내용(사건)과 곁들여 쓴다.

 

2) 반드시 교훈을 이끌어 낼 필요는 없다.

즐거움을 얻고 글 속에서 행복함을 느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독서 감상문을 쓸 수 있다. 억지로 교훈을 이끌어내고, 교훈대로 다음에 잘 해야겠다는 억지다짐을 쓰지 않도록 한다.

 

3) 중심 주제를 파악해서 쓴다.

책의 중심 주제를 놓치지 않고 그것을 중심으로 쓰도록 한다.

 

4) 갈등의 원인과 과정, 결과를 잘 살펴 쓰도록 한다.

 

5) 비판적 관점도 살린다.

책의 내용을 항상 받아들이기 보다는 작품에 대해 새로운 생각이나 비판할 점이 있다면 쓰도록 한다.

 

6) 책에 있는 내용을 꾸며 쓰거나 틀리게 쓰지 않도록 한다.

 

7) 자신의 감정을 억지로 부풀려 쓰지 않는다.

 

 

'독서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지도 수업 준비  (0) 2021.06.19
논설문 지도  (0) 2021.06.19
독서 감상문 지도 1  (0) 2021.06.19
글쓰기 지도의 기본  (0) 2021.06.19
독서 토론 지도  (0) 2021.06.19